안녕하세요. 퇴직연금 의무화 진행중이라고 하는데 어느정도 진행됐는지, 언제쯤 시행하는지 관련 글입니다.
읽어보시고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퇴직연금 의무화란? 퇴직연금 의무화는 기존 퇴직금(일시금) 중심으로 운영되던 퇴직급여 체계를 ‘퇴직연금’ 중심 연금형으로 전환하는 정책을 말합니다. 2025년 고용노동부는 이를 5단계로 나눠 순차 도입할 계획입니다.
☑️ 왜 퇴직연금 의무화를 추진하나?
고령화 사회 대응: 대한민국은 급속한 고령화로 국가연금과 퇴직연금의 재정 안정을 위해 제도 보강이 필요합니다.
연금 수익률 향상: 기존 퇴직연금은 연 2% 수준에 그쳤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기금형 퇴직연금’ 도입 논의가 활발합니다.
근로자 권익 보호: 퇴직급여 지급 요건을 ‘1년 이상 근무 → 3개월 이상 근무’로 완화해 단기 근로자도 퇴직연금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확대합니다.
🚀 주요 추진 내용
1. 단계적 의무화 실시
먼저 300인 이상 기업 → 100~299인 → 30~99 인 → 5~29인 → 5인 미만 소상공인 순으로 시행
대기업부터 중소기업, 영세 사업장까지 단계적으로 적용
2. 퇴직금 → 퇴직연금 중심 전환
퇴직금 일시 지급 대신 연금형 수령으로 전환
퇴직급여의 안정성과 장기 수익성 확보
3. 근속 요건 완화
3개월 이상 근무 시에도 퇴직급여 수령 자격 부여
탄력적 근로 형태 확산에 맞춰 제도 개선
4. 수익률 개선 전략
기금형 퇴직연금 제도 도입으로 전문가 운용 강화
기존 계약형(사용자 선택)에서 벗어나 운용 전문성 제고
디폴트 옵션 개선 → 예: 로보어드바이저 일임 시범 사업
5. 인출 제한 강화
주택 구입, 요양 등 특정 사유 외엔 중도 인출 어려워짐
장기적 연금 흐름 유지 목적
6. 공단 설립 검토
‘퇴직연금공단’ 설립을 통해 기금 집중 운용
민간 금융기관과 차별화된 체계 구축
7. 플랫폼·특수고용형 근로자 확대 적용
배달 라이더, 특수고용직 등에게 IRP 기반 퇴직연금 가입 지원
8. 감독 인력 보강
현행 3,100명 → 2028년까지 1만 명 수준으로 확대
제도 안정성과 불법 행위 예방 강화
💡 긍정적 기대 효과
연금 수익률 향상: 기금형 도입으로 평균 수익률 상승 가능
근로자 안전망 강화: 3개월 이상 근로도 퇴직급여 수령 가능
재정 건전성 확보: 기금 집중 운용과 감독 체계 강화로 장기적 안정
⚠️ 우려되는 점
소상공인 부담: 인건비·보험·퇴직연금 비용까지 부담 증가
단기 고용 회피: 3개월 근무 요건으로 아르바이트 형태 감축 우려
중소기업 도입 역부족: 정책 지원 없이는 실효성 떨어짐
🗓️ 언제쯤 퇴직연금 의무화가 시작될까?
2025년 6월 24일, 고용노동부는 국정기획위원회에 ‘퇴직연금 의무화’ 계획을 보고하며, 모든 사업장을 5단계에 걸쳐 순차적으로 시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 계획에 따르면:
1단계 (300인 이상 대기업): 법 시행 후 1년 이내 시작 → 약 2026년 예정
2단계 (100~299인 중견기업): 2년 이내 → 약 2027년
3단계 (30~99인 중소기업): 3년 이내 → 약 2028년
4단계 (5~29인 소규모 사업장): 5년 이내 → 약 2030년
5단계 (5인 미만 영세사업장): 6년 이내 → 약 2031년
따라서 300인 이상 사업장은 2026년부터 의무화, 중소·영세 사업장은 2027~2031년 사이에 순차 적용됩니다.
🏛️ 2025년 경제정책 방향
정부는 수익률 개선·중도 인출 강화·세제혜택 확대(20년 이상 수령 시 분리과세율 50%) 포함한 패키지로 정책 추진
퇴직연금 기금 운용·수익률 향상 위한 로보어드바이저 시범사업 등 실험적 제도 도입 예정
🔎 글로벌 맥락과 대한민국의 선택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와 저출산에 대응한 연금 개혁이 주요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한국은 2025년에 이르러 ‘의무화된 퇴직연금’과 ‘국가 차원의 기금 운용’이라는 큰 전환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개인의 노후소득 보장 강화는 물론, 국가 전체의 재정 지속성 확보를 위한 중요한 발걸음입니다.
댓글 영역